두려움마저 이용하는 이순신
임진왜란이 발발한지 초년인 1592년,
한산도 대첩에서 승리하며 혁혁한 공을 세워 삼도수군통제사을 지낸 주인공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고문을 받아 신체에 병을 얻고 파면되었었지만, 어렵고 두려운 시국에 맞서며 자신을 내몰아세운 조국에 헌신하며 적군에 맞서 국가존망의 위기에 처하자 주인공은 최고 지도자로 재임명되었다.
재임명교지를 받은 이순신장군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부임할 진도 벽파진으로 가는 도중 진주, 구례, 순천, 보성을 거치면서 무기와 군사들을 수습하려고 애를 쓰며 남해안 서쪽 끝인 부임할 벽파진으로 왔지만 주인공에게 남은 건 전의를 상실한 병사들과 두려움에 떠는 백성들, 그리고 12척의 전선뿐이다.
벽파진에서 다시 진수하기 위해 제작중이던 마지막 보루인 거북선마저 전의를 상실하고 전선을 이탈하는 경상우수사 배설에게 불타고 왜의 명장인 구루지마를 수장으로 330척의 함선이 속속들이 모여들었다.
설상가상으로 선조는 적은 군인으로 왜의 대군을 감당하기 어려우니 육군의 권율장군에게 합류하라는 교지를 내리지만 이순신장군은 선조의 교지에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있고, 바다를 버리면 조선을 버리는 것이라"며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고 결전의 날이 다가온다.
이 영화 서론을 보는 내내 난중일기에서 읽었던 주인공이 생각이 나고 이런 상황에서 주인공이 작품 속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두려움을 이기는 방법이란 어떤 방법일까 생각을 계속 하게된다.
"두려움과 싸워 이길 수 있는 사람이 세상에 얼마나될까? 또, 두려움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백성들은 어떠한 기분으로 살아갈까?"하는 생각들이 영화를 보는 내내 머리 속에서 떠나지 않았고, 영화의 회오리가 나오는 부분에서 나 또한 부관들과 함께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는 경험을 하였다.
용기로 바뀐 이들의 표효
12척대 330척의 결전의 날, 대장선인 주인공의 함선만이 앞으로 진격하며, 적국의 함대규모를 알고 있어 겁에 질려 전의를 상실한 부관들의 함선은 뒤로 빠져 있고 설상가상으로 조류마저 함선이 나아가는 방향의 역조류가 발생하면서 진군은 어렵지만 주인공이 지휘하는 대장선은 화포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1군 중 많은 함선을 격침시키고, 2군이 다가오는데 조류의 영향이 적은 구간으로 주인공이 탄 함선이 버티고 조류가 바뀐다.
대장선에서 부관들의 함선을 부르는 초요기를 올리는 것을 방해하려는 상대방쪽의 저격수와 화살로 저격수의 눈에 맞힌 주인공의 부하가 명량해전의 갈등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상대방쪽의 저격수가 저격되고 상대방은 주인공이 지휘하고 있는 함선으로 자폭선을 보내고 이를 눈치채지 못 하고 있는 주인공과 적에게 포로가 되어 자폭선에 타고 있는 주인공의 부하는 자폭선에게 주의를 돌릴수 있게 부하의 아내에게 말하고, 부하의 말을 따르는 아내와 그런 아내에게 동조하는 마을사람들에의해 자폭선이 발견되고 자폭선은 피격된다.
모든 수단이 방해를 받은 상대방은 최후의 수단으로 자신의 함선을 주인공의 함선에 들이받으려는 찰나 회오리가 발생하여 상대방쪽의 함대와 주인공이 지휘하는 함선이 회오리에 휘말리며, 주인공의 함선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다.
이때 피난을 가려했던 백성들이 어선을 이끌고 주인공의 함선을 회오리로부터 지켜내고 전의를 상실한 병사들과 두려움에 가득찬 백성들은 두려움을 이겨내고 용기를 가진다.
두려움을 이겨낸 부하들과 병사들의 표효가 사방에서 들리고 때마침 조류도 나아가려는 방향으로 방향이 바뀐다. 회오리때문에 상대방의 함선들은 서로 부딪히며 파괴되기 시작하고 돌격이 불가능해진다.
주인공을 직접 죽이기 위해 주인공의 함선으로 월선한 상대방과 그를 막아서는 주인공 부하의 백병전이 시작되고, 주인공 부하에게 칼을 맞은 상대방은 주인공을 죽이기 위해 부하를 피해 앞으로 나아가는데 이때 상대방에게 쏘아진 화살세례을 전부 맞고 주저 앉는다.
구루지마가 참수되어 대장선에 목이 걸리자 도도의 일본함대가 참전을 하고, 대장선의 투혼을 지켜본 부관들의 함선이 모두 전투에 참여하고 조류를 이용하여 충파로 왜선들을 박살낸다. 전투에 많은 수의 왜선을 잃은 도도는 결국 퇴각명령을 내리고 화포사격으로 왜선들을 몰아내 명량해전은 조선의 승리로 마무리된다.
명량해전 이후의 임진왜란의 판세
명량해전 직전 일본 수군이 이순신장군이 옥에 갇히고 파직되어 조선수군의 최고사령권자였였던 경상우수사 권율장군의 수군을 폐퇴시키며 부산을 비롯하여, 경상도 남해안 대부분의 재해권을 장악하였고, 또한 1597년 9월 25일과 29일 이틀간 남원 전투, 전주성에서 조명 연합군을 대파하고 남원과 전주를 함락시킨 일본 육군은 전라도 점령 이후 충청도 직산까지 진격하여 명나라군과 대치중인 상황이었다. 그야말로 육군과 수군의 연전연승 앞에 조선의 국운은 바람 앞의 등불이었다.
이에 명나라군 투입으로 남쪽까지 내려갔던 일본 육군과 수군은 수륙 병진을 통한 한양 공격을 목전에 두고 있었으나, 이순신장군이 이끈 명량해전으로 진도 울돌목에서 처참한 패배를 겪고 이로 인해 일본군의 수륙병진작전이 일본 수군부터 무산 되며, 승승장구하던 일본 수군과 육군은 남해안 일대에 분산되어 왜성을 쌓고 농성전에 들어가게 된다. 이후 전투의 양상은 농성하는 일본군을 조명연합군이 수륙 양면에서 협공하는 공성전으로 바뀌게 된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 : 아버지와 아들의 비극, 임오화변과 정조 (0) | 2024.05.23 |
---|---|
남한산성 : 나라의 운명, 병자호란 이후의 정세 (1) | 2024.05.23 |
안시성 : 5천대 20만의 승리, 1차 고당전쟁 이후 (1) | 2024.05.22 |
노량, 끝 그리고 시작, 정유재란의 끝. (0) | 2024.05.20 |
한산, 거북선의 출현과 재조명, 한산도대첩 이후 임진왜란 양상 (0)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