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안시성 : 5천대 20만의 승리, 1차 고당전쟁 이후

by 진온아빠 2024. 5. 22.

 

반역자의 낙인이 찍힌 성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연개소문의 집권에 대한 찬성을 하지 않고 홀로 당나라의 20만대군을 맞아 안시성을 지킨 안시성주의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중국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지리적 특징때문에 수나라, 당나라 등의 중국에 나라가 건국될 때마다 전쟁을 경험하였으며, 수나라의 침공을 저지하고 전쟁의 승리를 이룬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대첩과 당나라의 20만대군의 침공을 저지하고 전쟁의 승리를 이룬 안시성주의 안시성전투가 대표적인 중국에 맞서 싸워 이긴 대표적인 전쟁이다.

연개소문이 정권을 잡고 수나라를 없앤 당나라가 쳐들어 온다는 소식을 전해들었지만 연개소문은 집권에 찬성하지 않은 안시성주를 좋게 봤을리 없다. 

중국에서 수나라군을 물리친 당나라군의 20만명이라는 대군이 제1차고당전쟁을 겪으면서 안시성을 함락하지 못해 고구려의 수도였던 국내성으로 진격하지 못 하고 수차례의 크고 작은 전투로 지쳐있는 상황에서 고구려는 전열을 정비할 시간을 벌 수 있었다.

영화에서도 하나의 성에 몇만씩 거주하고 있지도 않을 뿐더러 겨우 5천의 군사로 20만의 군을 저지하고 있으려 하면 죽어서도 지킨다는 강한 의지와 신념을 1명의 장수가 가지고 지휘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5천명의 군사가 서로 의지하고 일치단결되어 국경을 지켰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물러서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제1차 고당전쟁. 연개소문이 보낸 15만 대군은 주필산에서 당의 20만 대군과 맞붙는데 고구려의 개마 무사들의 기병들과 당 보병대가 치열히 싸우던 도중 당 태종의 계략으로 거란군과 돌궐군이 참전하면서 고구려군의 패배한다.
막사에서 연개소문은 사물과 독대하면서 안시성주를 죽여버릴 것을 명령하면서 안시성을 버릴 것이라고 천명한다. 안시성에 도착한 사물의 집안을 아는 안시성의 호족에 의해 그가 안시성 출신이라는 것이 증명됐고, 그가 태학 생도라는 사실도 드러난다. 사물은 양만춘이 성에 들어오면서 백성들이 반기는 장면이 떠오르면서 뛰어난 인품을 깨닫고 연개소문의 명령과 안시성주의 인품사이에서 고뇌한다.

양만춘은 당나라 본대의 도착이 임박했으니 전투를 준비하라고 명령하고 때마침 당의 대군이 안시성에 도착한다. 안시성의 결사항전의 의지를 다짐했지만, 당의 대군을 보자 기가 죽는다. 양만춘은 "나는 포기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는 연설을 해서 장수들과 병사들의 사기를 돋운다. 한편, 당태종은 "고구려군의 기세가 높아 항복하지 않을 것"을 짐작한 뒤, 병사들에게 "안시성의 약탈을 허락한다.
드디어 결전이 시작되면서 당군은 투석기로 거대한 돌들을 발사한다. 안시성으로 바위 덩어리들이 날아들면서 부상자들과 사망자들이 발생했지만, 성벽은 흙으로 쌓아 파손되긴 해도 무너지지는 않고 건재했다. 그러자 당태종은 총 진격을 명령했고, 치열한 전투가 시작된다. 고구려군은 당의 맹렬한 공세에 고전했지만, 양만춘의 신출귀몰한 지휘와 용맹한 병사들 덕분에 승리를 차지한다.

1차전투에 패배한 당군은 공성탑을 준비했다. 사다리가 놓이자 끝도 없이 당군이 밀려왔고 고구려군은 고전한다. 양만춘은 기름 주머니과 불 화살로 공성탑을 불태워버린다. 당태종은 공성탑이 모두 파괴된 것을 본 뒤 후퇴를 명했다.

한편, 당태종은 포기하지 않고 토산을 쌓는 등 절망적인 상황에서 사물은 더는 방법이 없다며 연개소문의 중앙군에 지원을 요청하자고 하나 양만춘을 비롯한 안시성의 장수들은 연개소문은 안시성의 사람들을 반역자로 여기고 있다고 회의감을 보인다.

안시성에서는 토산의 대비책으로 토산 밑으로 땅굴을 파서 들어가고 지탱하는 나무 기둥를 찍어 무너뜨리면서 고구려군은 재빨리 건너가 토산을 점령하고 환호한다. 두 달 동안 뼈 빠지게 지은 토산이 허무하게 넘어가는 것을 본 당태종은 화가 머리 끝까지 나서 토산의 담당자를 즉결처형했고, 처절한 최후의 전투가 시작된다.
화가 난 당태종은 아군의 희생 따윈 신경도 안 쓰고 무지막지한 물량을 쏟아붓기 시작하면서 토산에서는 며칠 동안 밤을 새워 전투가 계속된다. 잘 버티던 안시성군도 결국 화살과 수레바퀴 등의 군수물자가 다 떨어져 위기를 맞게 된다.

안시성을 지키기 위해 죽은 사람들을 떠올린 양만춘은 신궁으로 화살을 쏘아올리고 거대한 화살이 당태종의 왼쪽 눈에 꽂힌다. 달려오는 고구려의 대규모 증원군을 본 당태종은 결국 후퇴를 명령한다.

 

1차 고당전쟁 이후

1차 고당전쟁이후 당나라는 안시성에서의 대패로 고구려에서 모든 병력을 철수시켰으며, 당의 주력군이 고구려 원정을 한 틈을 타서 당나라의 외세가 하주지역을 노략질했다.

이 때문에 태종 이세민은 수도 장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영주를 직접 정벌하려다가 병에 걸리게 되었다. 그리고 이세민은 자신이 제1차 고당전쟁에서 고난을 겪었던 사실들 및 철수하는 과정에서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에 추격을 당했다는 사실을 아예 빼 버리고 자기 입맞에 맞게 역사서를 기록한다.

당나라 때의 역사서에는 고구려를 아예 기록하지 않았다. 당태종은 안시성의 참패 후, 수나라 때의 양제 양광이 행한 당장의 무리한 대규모 원정보다는 장기적으로 대규모의 원정을 준비하면서 고구려와는 계속하여 소모전 및 유격전을 치르고, 신라와는 매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이 때문에 안시성 전투는 이후 동아시아와 한반도 역사에서 큰 분기점이 되는 역사의 시작을 알린 전투이기도 하다. 당 태종은 이후에도 다시 한번 대규모의 고구려 원정을 시도했으나 준비 중에 "고구려 원정을 그만두라."는 유언을 남기며 붕어하면서 결국 당태종 생전의 재원정은 실현되지 않았다.